티스토리 뷰

Kotlin에는 유용한 extension function들이 있습니다. 

대표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with/let/apply/also/run을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with

inline fun <T, R> with(receiver: T, block: T.() -> R): R

어떤 객체의 이름을 반복하지 않고 객체에 대해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려고 할 때, with() 함수가 유용하게 쓰입니다. 

with() 함수는 첫 번째 인자로 받은 객체를 두 번째 인자로 받은 람다의 수신 객체로 전달하며, 람다의 실행 결과(마지막 식의 값)를 리턴합니다.

 

예시 - with
val s: String = with(StringBuilder("hello")) {
    append("kotlin ").ap pend("world!")
    println("current value: $this")
    toString()
}
println(s) 
// hello kotlin world!

 

 

 

let

inline fun <T, R> T.let(block: (T) -> R): R

 

let() 함수는 함수를 호출하는 객체를 인자로 받은 람다의 수신 객체로 전달하며, 람다의 실행 결과(마지막 식의 값)를 리턴합니다.

주로 null 체크가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
 

예시 - let
var str: String?

// 기본적인 방식의 null check 
if(str != null) {
	println(str)
}

// safe calls + let 사용
str?.let {
	println(str)
}

 

 

 

apply

inline fun <T> T.apply(block: T.() -> Unit): T

apply()  함수는 with 함수와 사용법이 비슷하며, 그 차이점은 항상 apply() 함수를 호출한 객체 자신을 리턴한다는 것입니다. 

 

예시 - apply
val person = Person().apply {
    name = "Su" // Person객체의 property 명으로 접근
    age = "29"
}

 

 

 

also

inline fun <T> T.also(block: (T) -> Unit): T

also() 함수는 자신을 호출한 객체를 사용하지 않거나, 값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 쓰이는 함수입니다. 함수를 호출한 객체 자신을 그대로 리턴합니다.

 

예시 - also
 val person = person.also {
 	requireNotNull(it.age)
	print(it.name)
 }

 

 

run

inline fun <T, R> T.run(block: T.() -> R): R

 run() 함수는 기본적으로 let()  함수와 사용법이 비슷하며, 함수를 호출한 객체를 이어지는 블록의 수신 객체로 전달합니다. 그리고 람다의 실행 결과를 리턴합니다. 

 

 

예시 - run
// safe calls + run 사용
var strLen = str?.run {
	println(str)
    length
} ?: 0

'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Kotlin(코틀린) 이란 무엇인가?  (0) 2019.08.1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