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Kotlin(코틀린)은 JVM과 안드로이드를 위한 "실용적"인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 개발에 있어 기존 자바 코드와의 상호운용성, 안전성, 간결함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 Java 개발 IDE인 InteliJ IDEA로 유명한 JetBrains 사에서 개발했으며 2012년 오픈소스화 되었습니다. 2017년에 Google이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채택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플랫폼에서 쓸 수 있습니다.
1. 주요 특징
1-1. 정적 타입 언어 (Static typed language)
컴파일 시간에 변수의 타입(Type)이 결정됩니다. 프로그래머가 직접 객체의 타입을 명시해주어야 합니다. 프로그램 내에서 객체의 필드(field)나 메소드(method)를 사용할 때마다 컴파일러가 타입을 검증해주어 타입 오류를 막을 수 있습니다.
1-2. 타입 추론 (Type inference)
코틀린은 타입 추론을 이용하여 변수의 타입을 추론합니다. 타입 추론이란, 컴파일러가 문맥을 고려해 변수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. 자바와 다르게 일반적으로 직접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.
1-3. 객체지향(Object oriented) 프로그래밍 및 함수형(Functional) 프로그래밍 지원
코틀린은 자바와 같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합니다. 코틀린만의 특징으로는 상속을 받지 않고도 클래스의 확장(extension)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. 또한 코틀린에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합니다.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함수를 일급 객체(First-class)로 취급합니다. 함수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고, 함수를 다른 함수의 파라미터로 받을 수 있으며, 함수에서 다른 함수를 리턴할 수 있습니다. 코틀린에서는 람다 식(lambda expression) 를 지원하여 익명의 함수를 쉽게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코드를 작성할 때 객체지향 및 함수형 접근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됩니다.
'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otlin] with/let/apply/also/run의 사용법 (0) | 2019.04.26 |
---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복구
- GPT
- Repair
- inject
- NGINX PHP 연동
- UEFI
- dependency injection
- CentOS NGINX PHP
- Dagger
- bootcamp
- kotlin
- Android
- EFI
- NestedScrollView
- 부트로더
- provides
- NGINX PHP FPM
- 부트캠프
- CoordinatorLayout
- DI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